[용마산, 아차산]
북쪽으로 용마산이 이어지며, 이 두 산을 하나로 보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따로 구분한다. 서울에 있는 산 중에서는 262m인 남산과 함께 낮은 편이지만, 사람들은 왜인지 남산보다는 훨씬 높은 산인 줄 안다. 그 이유는 남산은 맨 위까지 개발이 되어 있어 공원도 있고 버스가 다니지만, 용마산/아차산은 윗부분이 거의 산 그대로이고, 기슭에만 시설이 있는 데다가 아무것도 없는 험준한 것도 꽤 남아 있으며, 산 자체도 남산보다 크기 때문에 산 몸체가 훨씬 커 보이고 더 높아 보이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용마봉의 북동쪽 사면은 길이 없어 걸어서는 못 오르고, 정상 능선에만 길이 있다.
상술했듯 상당히 낮은 산이라 남산을 제외한 서울 외곽의 주요 산 가운데서도 특히 등산하기에 부담스럽지 않은 코스를 갖고 있어 서울 동부나 강동 지역의 등산객들이 그런대로 찾고 있다. 지역 주민 입장에서는 그저 동네 뒷산같은 느낌이지만, 고고학적으로는 무시할 수 없는 지역이기도 하다. 이 산에는 백제가 쌓은 아차산성[2]과 고구려가 쌓은 아차산 일대 보루군이 있는데, 이 지역은 고구려와 신라까지도 영토 다툼을 벌이던 지역이라 다양한 유물이 발굴되고 있기 때문. 1996년에 대규모 발굴을 했으며,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다시 홍련봉 1, 2보루와 아차산 3, 4보루를 재발굴을 하였다. 아차산 일대 보루군 발굴 과정에서 고구려 관련 유물을 적지 않게 수습했다. 또한 이 지역은 고구려의 온달 장군의 전사지로 유명한데, 그냥 동네 뒷산에 불과할지도 모를 아차산의 이름을 그나마 전국적으로 알려주는 소재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인지 이 고구려와 온달의 이름을 가지고 광진구와 구리시, 충북 단양군이 서로 싸우고 있는데, 단양군이 끼는 이유는 온달의 전사지가 아차산성이 아닌 단양군 온달산성이라는 이설이 있기 때문이다. 자세한 사항은 온달 항목을 참조하자.
산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구리에서 넘어와 아차산 능선을 따라 용마산까지 넘어가지만, 굳이 여기까지 즐기지 않는 사람이라면 보통 아차산역에서 도보나 주변 버스인 광진03번 버스로 영화사 방향으로 올라가거나, 광나루역에서 워커힐 또는 광장동 주택가를 뚫고 가는 등산 코스를 고르게 된다. 아차산 자락에는 장로회신학대학교가 자리잡고 있는데 남문에서 북문으로 올라가 등산 코스로 갈 수도 있다. 다만 모든 산이 그렇듯이 지하철역에서 산 입구까지 도보로 꽤 걸리는 만큼 각오를 하고 올라가자. 버스 타고 가도 좀 오래 걸어야 한다. 대중교통과 가장 가까운 입구는 긴고랑 입구로, 광진02번 버스가 등산로 바로 앞까지 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편하나 자주 다니지는 않는다. 자동차로 오는 경우 산 입구에 공영주차장이 있지만 그리 주차면수가 많지는 않아 낮에는 만차가 되기 일쑤. 산 위에 지은 고구려정[4]은 주변 지역에서는 높은 편이라 나름대로 해돋이 구경 명소로 꼽힌다. 구리시 방향에서 넘어올 때는 아치울 마을이나 우미내 검문소 정류장에서 승하차하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화분을 만들겠다고 아차산의 흙을 퍼온 사람들 때문에 광진구 일대의 바퀴벌레 개체수가 폭증했고, 결국 여러 광진구 주민들이 불편함을 겪고 있다.
벚꽃 시즌에는 워커힐로를 따라 벚꽃이 피는데 사진찍기 좋아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망우산, 용마산, 용마봉, 아차산, 마우역사문화공원 안창호 묘터 깔딱고개, 낙타고개, 아차산 어울림광장, 아차산 해맞이공원,
Seoul, South Korea
time : Mar 15, 2025 7:30 AM
duration : 2h 9m 7s
distance : 9 km
total_ascent : 497 m
highest_point : 371 m
avg_speed : 4.2 km/h
user_id : cms7832
user_firstname : 민식
user_lastname : 조
◆ 산행코스: 망우역사문화공원 입구→ 망우역사문화공원→ 안창호 묘터→ 망우산 정상 전망대→ 깔딱고개쉼터→ 아차산 봉수대→ 용마봉→ 아차산 봉수대→ 아차산 4보루→ 아차산→ 해맞이공원→ 낙타고개→ 아차산 토요한마당→ 아차산 어울림광장(9.0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