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 국립공원 안양산입니다 무등산은 내 마음속 산으로 산골 봉우리 모두 가보고 싶은 산입니다. 이번 산행은 화순 무등산 편백나무 휴양림에서 출발 안양산으로 오릅니다. 안양산은 무등산 국립공원지역으로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있었으며 낙석 위험개소에 대한 관리번호를 부여 체계적인 관리를 하고 있었습니다. 안양산 능선을 올라 갈때까지 별 여려움 없이 산행을 했습니다. 숲을 지나니 능선길은 잡목과 억새 그리고 철쭉이 많았습니다. 안양산에 올라가니 무등산과 주면의 산들 능선을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가 2개나 있었습니다 안양산은 무등산 정상뿐만 아니라 장불재 등 무등산 동부 쪽을 모두 조망 할 수 있는 곳 이였으나 안개로 조망을 하지 못했습니다. 안양산에서 장불재쪽(백마능선)으로 하산을 시작하니 무등산 정상의 구름이 걷히면서 무등산 천왕봉을 조망할 수 있도록 열렸습니다. 장불재를 지나 다시 왔던 길을 뒤돌아 너와나목장, 만연산쪽으로 하산을 시작합니다. 하산길도 불편하지 않을 정도로 좋습니다. 수만리 탐방 지원센타를 지나 만연산으로 향합니다. 만연산은 화순 읍내에서 보면 삼각산으로 화순읍내와 아주 가까운 곳으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산행지 이기도 합니다. 만연산까지의 등산로는 완만하고 트래킹하기 좋은 곳입니다. 만연산 정상에서 큰재로 하산을 할 때 경사도가 심했고 계단이 많이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안양산-한국의 산하] 무등산에서 내려다 보면 장불재에서 남동쪽으로 꼬리를 틀어 길게 뻗어 내린 능선이 백마능선이다. 가을이면 억새의 흰손이 바람에 흩날릴때 마치 백마의 갈기처럼 보인다하여 백마능선이라 불리운다. 호남정맥 길이기도 한 이 백마능선 끝에 있는 봉우리가 안양산이다. 안양산 아래는 안양산자연휴양림이 있는 둔병재이다. 안양산은 독립된 산이라기보다 무등산 줄기의 한 봉우리이다. 무등산의 여러 가닥의 등산로 중 교통이 불편하여 비교적 한산하다. 안양산 단독산행보다 무등산과 함께 산행하면 일품이다. 단체산행의 경우 둔병재에서 안양산에 올라 백마능선을 타고 무등산 서석대를 거쳐 증심사로 하산하는 코스는 증심사 원점회귀산행보다 매력적이다. 안양산 7부능선에서 안양산까지와 백마능선이 억새군락지로 억새산행으로 인기 있다. 또한 봄이면 안양산 능선이 철쭉으로 뒤덮혀 철쭉산행코스로 떠 오르고 있다. 안양산 정상에서 올려다 보면 무등산 전체 조망이 장관이다. 산행은 둔병재에서 시작한다. 둔병재에서 안양산자연휴양림을 지나 안양산 정상까지 1시간, 30여분은 가파르게 오른다. 30여분이 지나 7부능선에 이르면 완만한 능선의 억새와 철쭉군락지이다. 안양산에서 무등산 장불재까지는 비교적 완만한 능선이다. 둔병재 보다 수만리 들국화마을을 들머리로하면 둔병재 들머리보다 다소 완만하다. 안양산자연휴양림에서 화순군 화순읍 수만리로 넘어가는 고개인 둔병재는 이름 그대로 임진왜란 당시 의병들이 주둔했던 곳이다. 병기를 만들었던 쇠메기골에서는 지금도 쇠 찌꺼기가 나오고 있으며 물을 넘어오던 물목재, 장군대 등 옛 이름이 지금도 남아 있다.
광주 무등산, 화순 안양산, 낙타봉, 장불재, 만연산, 큰재
Hwasun-gun, Jeollanam-do, South Korea
time : Sep 2, 2017
duration : 0h 0m
distance : N/A km
total_ascent : N/A
highest_point : N/A
avg_speed : N/A
user_id : cms7832
user_firstname : 민식
user_lastname : 조
◆ 산행코스: 무등산 편백나무휴양림→ 안양산→ 나탁봉→ 장불재→ 너와나목장→ 만연산→ 큰재(11.4Km)